![](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HnX0u/btreJQvCpbg/IE7i0zkwd49kSPHMqQURZk/img.jpg)
코로나19 시대 경제생활 2-코스피 한국 종합주가지수, 증권시장의 개별주가를 총괄적으로 묶어 전체 주기를 나타내는 지표 신문이나 방송에서 증권 관련 기사를 보도할 때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코스피, 코스닥, 다우존스, 나스닥입니다. 이들 용어는 모두 주가지수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코스피부터 알아봅시다. 코스피(KOSPI)는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어로, '한국 종합주가지수'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주식을 거래하는 시장, 즉 제1시장의 주가지수입니다. 대개 주식시장의 흐름을 알려면 몇 가지 지표를 점검하게 마련입니다. 그런 지표로는 주가지수를 포함해 주식거래량, 상승·하락 종목수, 고객예탁금(투자자가 주식을 사는 데 쓰려고 증권회사 거래계좌에 미리 맡겨두는 돈,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XTwYJ/btreB8KVZX8/H8j2J2KO4A4kotGgGNVGJk/img.jpg)
코로나19시대 경제생활 1-증자와 감자 회사가 자본금을 늘리거나 줄이는 것 증자(增資, capital increase)는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이고, 감자(減資, capital reduction)는 줄이는 것입니다. 그럼 왜 증자나 감자를 하는 것일까? 이해를 돕기 위해 자본금의 개념부터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자본금은 주식회사가 주식을 발행해 주주에게 주고, 그 대가로 받은 돈을 모아 조성한 것입니다. 즉 주식회사의 사업밑천입니다. 흔히 자본금은 발행한 주식의 총액과 같습니다. 다시 말해 발행주식 총수에 주식의 액면가를 곱한 값이 바로 자본금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의 발행주식 총수가 1,000만주이고, 액면가가 5,000원이라면 이 회사의 자본금은 1,000만주 × 5,000원 = 500억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FvVG4/btrewyvGdKQ/vTS8DKyKwnC6fB6NksROAk/img.jpg)
사이드 카 현물시장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도입한 매매호가 관리제도 주가가 폭락하면 투자자들이 보유 주식을 팔아치우는 투매(投賣)에 가담하거나 미래의 차익을 기대해 마구 사들이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하지만 이 같은 움직임은 자칫 자신은 물론 다른 투자자들에게도 피해를 끼칩니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는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해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줄 가능성이 커지면 누군가가 시장에 개입합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한국거래소(KRX) 유가증권시장 본부, 코스닥시장에서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본부가 이와 같은 역할을 맡습니다. 그럼 사이드카(side car)는 뭘까? 사이드카는 경찰관이 타고 다니면서 교통질서를 바로잡거나 급한 경우 길 안내도 하는 오토바이의 일종입니다. 증권시장에서도 사이드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l603d/btreotbIGNo/1xdoArSRcsI392GdFeOgW0/img.jpg)
슬기로운 경제생활 3-불마켓과 베어마켓 상승장과 약세장을 각 동물의 형상에 비유해 부르는 말 주식시장을 말할 때 자주등장하는 동물이 있는데 바로 '황소(bull)'와 '곰(bear)'입니다. 주식시세가 강세 혹은 오름세를 뜻할 때는 불마켓(bull market), 약세 혹은 내림세를 뜻할 때는 베어마켓(bear market)이라고 합니다. 그럼 황소와 곰은 어떻게 해서 이런 뜻으로 쓰이게 됐을까? 이들 단어의 어원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황소와 곰이 싸울 때의 모습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즉 황소는 뿔이 위로 치솟아 있어 오름세를 뜻하고, 곰은 아래쪽으로 머리를 숙이면서 공격하기 때문에 약세를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혹자는 황소는 저돌적으로 돌진하니까 상승세, 곰은 느린걸음으로 어슬렁어슬렁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37Lwu/btrelRhX5DO/gFQkkFEvGYdhlIjKYLrnfK/img.jpg)
슬기로운 경제생활 2-레버리지 차입금 혹은 타인 자본으로 투자해 대출 이자보다 수익을 크게 내는 방식 부동산이나 주식과 관련된 뉴스가 나오던 단골처럼 등장하는 용어가 바로 '레버리지(leverage)'입니다. 레버리지는 영어로 '지렛대'라는 뜻입니다. 지렛대는 무거운 물건을 움직이는 데에 쓰이는 막대기입니다.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수단이나 힘'을 말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영국과 호주에서는 레버리지 대신 '기어링(gearing)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레버리지 효과(지렛대 효과)'는 사업 등 어떤 목적에 부족한 돈을 빌려 투자한 후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 빌린 돈을 뜻하는 차입금 등 타인자본을 지렛대로 삼아 자기 자본 이익률(return on equit..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Iog2X/btrejfvPFR1/aRHyXI5KKbELJlS6Y3X0ZK/img.jpg)
슬기로운 경제생활 1 - 골든크로스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뛰어넘는 시기 주식차트로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는 몇 가지 단서가 있습니다. 우선 추세선(趨勢線)을 꼽을 수 있습니다. 주가를 면밀하게 분석해보면 어느 기간 동안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를 흔히 '추세' 라고 부릅니다. 주가 바닥과 정점을 이뤄가며 움직이는 두 지점을 연결하면 추세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이때 주가가 상승하면 '상승 추세선', 하락하면 '하향추 센선'이라고 부릅니다. 추세선은 주가의 단기적인 변동보다 장기적인 방향성에 무게중심을 둡니다. 또한 추세선은 선의 길이가 길고, 주가 바닥과 정점의 간격이 클수록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추세선을 더욱 세밀화한 것이 '주가이동평균선' 입니다. 흔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Rt6Sj/btrdIUHJ2vR/CX4QrKtPJefKV0H1GvM950/img.jpg)
경제 이야기 2-상장 증권거래소에서 매매할 수 있는 품목(종목)으로 지정하는 일 우리나라에는 수많은 주식회사가 있지만 이들 기업의 주식이 모두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것은 아닙니다. 증권거래소에서 기업의 주식이 정상인지 점검한 후에 거래를 허가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증권거래소가 특정 주식에 대해 거래소시장에서 매매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것을 상장(上場, listing)이라고 합니다. 공부를 잘한 학생에게 주는 상장이 아니라 '증시에 명패(銘牌)를 내건다'는 뜻입니다. 영어인 'listing' 도 '증권거래소 시세표 목록에 이름을 올린다'는 의미입니다. 결국 상장은 특정주식이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될 수 있는 종목으로 지정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주식이 상장되면 발행회사의 사회적 평가가 높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HKI9J/btrdEjGSSZO/38kaZNHo4EhpVhiCQpPwDK/img.jpg)
경제 이야기 -리디노미네이션 화폐 단위를 바꾸는 것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의 단위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1,000원을 100원으로, 100원을 10원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이렇게 화폐 단위를 바꾸면 덩달아 화폐 호칭도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원'이 '환'으로 바뀌는 것인데, 우리나라는 1953년에 100원을 1 환으로, 1961뇬애 10 환을 1원으로 바꾼 적이 있습니다. 그럼 무엇 때문에 화폐 단위를 바꾸는 걸까? 경제 규모가 커졌으니 그에 맞게 돈의 단위도 바꿀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한 해 예산은 200조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나라살림 규모가 커지면 거래되는 돈의 단위도 점점 커져서 거래나 계산할 때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더욱이 머지않아 조의 1만 배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mJqym/btrdpLjpHLt/PFfwGLtC4bdzZyCwNCQTqk/img.jpg)
경제 이야기-제1금융권 시중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 등의 일반적인 은행 "제1금융권에서 이탈한 고객에게 제2금융권은 높은 금리를 제시하고 이체, 출금 등 기타 금융서비스를 좀 더 다양하게 제공합니다." "대부업계가 소위 제3금융권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대부업에 대한 인식을 바꿔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신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문장들입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제3금융권은 무엇일까? 의미를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제1금융권(banking sector) : 큰 도시에 본점이 있고 전국에 지점망을 갖춘 일반은행인 시중은행을 비롯해, 지방의 특정지역에서만 독자적으로 영업하는 지방은행, 특별법규를 적용받아 특별 업무를 하는 특수은행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시중은행에는 KB국민·K..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tHZHC/btrdr42O7r4/7KPOgQdo7K2BFCCBeptqRk/img.png)
경제 얼마나 알고 있니-리보금리 영국 런던에서 우량은행끼리 단기자금을 거래할 때 적용하는 금리 신문이나 방송에서 세계경제의 동향을 전할 때 리보금리라는 말이 자주 등장합니다. 리보(LIBOR)는 '런던 은행 간 금리(London Inter-Bank Offered Rates)'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국제금융시장의 중심지인 영국 런던에서 우량은행끼리 단기자금을 거래할 때 적용하는 금리를 말합니다. 리보라는 단어 안에 이미 금리의 뜻이 포함돼 있지만 흔히 리보금리라고 부릅니다. 리보금리는 국제금융시장의 기준금리로 활용됩니다. 우리나라 은행이 해외에서 외화자금을 빌릴 때도 리보금리를 기준으로 삼아서 금리조건을 결정합니다. 또 국제금융시장의 단기금리 추이를 파악하는 지표로도 사용됩니다. 리보금리가 국제 기준금..
- Total
- Today
- Yesterday
- 콘텐츠마케팅
- 마케팅
- 모바일마케팅
- 포지셔닝
- 경제용어
- 마케팅공부
- 수익형블로그
- 마케팅이야기
- 광고
- 제휴마케팅
- 마케팅전략
- 주식정보
- 블로그마케팅
- 홍보
- 기술창업
- 소셜미디어
- 마케팅믹스
- 빅데이터
- 인공지능
- 4차산업혁명
- 경제
- 비트코인
- 소셜미디어마케팅
- 마케팅용어
- 창업
- 마케터
- 브랜드
- 경제이야기
- 블록체인
- 주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