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BIG

슬기로운 경제생활 2-레버리지

차입금 혹은 타인 자본으로 투자해 대출 이자보다 수익을 크게 내는 방식

 

부동산이나 주식과 관련된 뉴스가 나오던 단골처럼 등장하는 용어가 바로 '레버리지(leverage)'입니다.

레버리지는 영어로 '지렛대'라는 뜻입니다. 지렛대는 무거운 물건을 움직이는 데에 쓰이는 막대기입니다.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수단이나 힘'을 말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영국과 호주에서는 레버리지 대신 '기어링(gearing)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레버리지 효과(지렛대 효과)'는 사업 등 어떤 목적에 부족한 돈을 빌려 투자한 후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 빌린 돈을 뜻하는 차입금 등 타인자본을 지렛대로 삼아 자기 자본 이익률(return on equity)을 높이는 것도 레버리지 효과에 속합니다. 

자기 자본 이익률은 기업 경영자가 기업에 투자된 돈(자본)을 활용해 이익을 어느 정도 올리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흔히 '자기자본수익률' 이라고 부릅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은 기업이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척도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자기 자본 이익률이 20%라면 연초에 100원을 투자해 연말에 20원의 이익을 냈다는 애기입니다. 

레버리지는 언제 사용해야 효과적일까? 빚을 지렛대 삼아 투자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방법은 주로 경기가 호황일 때 자주 사용합니다. 왜 그럴까? 경기가 좋을 때 비교적 낮은 비용과 금리를 활용해 자금을 끌어 모아 수익성이 있는 곳에 투자하면 막대한 수익을 남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자금이 충분하다면 굳이 타인자본을 끌어 모아 수익성이 있는 곳에 투자하면 막대한 수익을 남길 수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 하나 있습니다. 투자할 때 꼭 레버리지를 활용해야 할까?

대출을 받지 않고 투자할 방법은 없습니다. 그러나 남의 돈 없이 투자를 하는 것도 쉽지 않고 더욱이 별로 많지 않은 자기 자본으로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도 쉬운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돈을 빌려야만 사업이나 투자를 할 수 있는 게 냉정한 현실입니다.

 

 

 

 

 

 

다만 레버리지는 현명하게 쓰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부채가 자기 자본보다 더 많으면 과다차입(excessive borrowing)이 됩니다. 과다차입은 종종 위기로 이어지게 마련입니다. 이때 부채를 이용해 수익이 발생하면 '정(+)의 레버리지 효과', 손실이 발생하면 '부(-)의 레버리지 효과'라고 합니다.

여기서 퀴즈 하나 내겠습니다. 부채를 통해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대신, 빚을 갚는 기업은 무엇일까?

정답은 '디레버리지(deleverage)'입니다. 디레버리지는 부채 등 차입을 줄이는 것을 뜻합니다. 기업이 경영위기로 어려움이 처했을 때는 가진 것을 모두 팔아 빚을 줄이는 게 상책입니다. 이때 디레버리지를 주로 사용합니다. 

디레버리지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들 수 있습니다. 전 세계를 강타한 금융위기로 자산가치가 폭락하자 투자자들이 보유한 빚을 청산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식과 채권 등 자산을 처분해 2008년 당시 국내 금융시장이 크게 동요한 적이 있습니다. 

디레버리지가 급격하게 이뤄지면 금융시장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유동성 문제'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에서 주식을 대거 팔고 돈(달러)으로 바꿔 국내 금융시장에서 나가면서 원달러 환율이 크게 치솟기도 했습니다.  결국 디레버리지가 급격하게 이뤄지면 자산 가격이 폭락하는 등 유동성 문제가 커져 돈을 빌리기가 쉽지 않은 신용경색까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업과 개인이 빚을 줄이기에 급급해 경제를 퇴보시키는 현상을 흔히 '디레버리징 패러독스(The paradox of Deleveraging)'라고 부릅니다.

앞서 설명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가 터졌을 때 당시 은행과 투자자들이 모기지 관련 자산을 한꺼번에 처분하려다가 미국 경제가 휘청거린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스몰캡

자본총액이 적은 소형주를 일컫는 말

 

스몰캡은 소형주(Small Cap)의 약자입니다. 여기서 Cap은 'capitalization(자본총액)'의 줄임말입니다.

자본총액은 회사를 운영하기 위해 조달한 자본(종잣돈) 전체를 뜻합니다. 스몰캡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보기 전에 기업과 주가를 연결 짓는 몇 가지 용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자본총액 = 자기 자본 + 부채

총자산 = 자본총액 = 자산총계

자기자본 = 자본금 + 잉여금

여기서 자본총액을 현재 시장 가격으로 환산한 가치를 '시가총액'이라고 합니다. 시가총액은 '주가 × 총 발행 주식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증권거래소는 상장 종목을 기업 규모에 따라 대·중·소형주로 나눕니다. 물론 대·중·소형주에 대한 절대적 기준은 없습니다. 나라마다 경제나 증시 규모에 따라 대형주와 소형주를 분류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형주(라지캡, Large Cap)는 시가총액 1~100위 기업이 발행하는 주식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형주는 자본금이 750억 원 이상인 기업이 해당합니다. 

대형주는 자본금이 많아 발행 주식수가 많고,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유통 주식도 엄청납니다. 또한 대형주는 시가총액이 많아 종합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력도 매우 큰 편입니다. 

대형주는 거액(큰돈)을 투자하는 외국인과 은행, 증권회사, 보험회사, 투자금융사 등 이른바 기관투자가 주로 선호하는 주식입니다. 대형주의 인기가 많아 언제든지 주식을 사고팔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중형주(미드캡, Mid Cap)는 시가총액 101~300위 기업이 발행하는 주식을 말합니다. 자본금을 기준으로 보면 350~750억 원 미만 기업의 주식을 말합니다.

 

 

 

 

 

이미 언급한 소형주는 자본금이 비교적 적은 회사의 주식을 말합니다. 시가총액이 301위 이하인 기업이 발행하는 주식을 말합니다. 상장회사 자본금이 350억 원 미만이면 소형주로 분류합니다.

여기서 질문 하나 대·중·소형주를 구분하는 척도가 자본금 규모와 시가총액 두 가지인 이유는 무엇일까?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중·소형주는 자본금의 규모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자본금 규모보다 시장에서 몸값이 얼마인지를 잘 알 수 있는지의 여부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러다 보니 시가총액이 증시 흐름을 더욱 정확하게 볼 수 있는 방식이 된 것입니다.

그래서 이제는 자본금과 시가총액 모두 고려해 대·중·소형주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소형주는 크기가 작아 대형주나 중형주의 그늘에 가린 볼품이 없는 주식일까? 아닙니다. 최근 증권사가 가장 주력하는 분야가 이른바 '스몰캡 전담팀'입니다. 이들 증권사들은 개인투자자의 자금을 끌어 모으기 위해 비교적 저평가된 스몰캡 종목을 발굴해 개인투자자들에게 적극 추천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스몰캡 전담팀은 수백 건에 달하는 스몰캡 분석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증권사가 이처럼 스몰캡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데에는 주가가 대형주나 중형주에 비해 소형주가 비교적 싸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이 투자하기에 적합하다는 판단이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정보통신(IT), 바이오 등 소형주 중심 업종이 탄탄한 성장동력을 보이고 있어 스몰캡의 유망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소형주가 탄탄한 투자대상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소형주는 대형주나 중형주에 비해 자본금이 적기 때문에 주가가 크게 오르거나 내리는 현상이 자주 일어납니다. 이러한 특성을 악용해 주가 조작에 이용하는 사례도 많은 게 엄연한 현실입니다.

특히 주가가 1,000만 미만인, 소위 '동전주'는 대형주나 중형주에 비해 불안정하지만 주가가 크게 오를 수 있는 기대감도 큰 편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증시에서 한 주당 주가가 20만 원짜리 주식이 두 배 가까이 급등하는 경우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듭니다. 그러나 1,000원도 채 안 되는 주식이 1,000원 혹은 그 이상으로 껑충 뛰어오르는 경우는 상당히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업체인 미래 산업은 2012년 주가가 400원대로 떨어진 '동전주'였습니다. 그러나 그 후 사업 수주 실적 등에 힘입어 한 주당 주가가 1,950원까지 치솟은 적이 있습니다.

특히 주가를 의도적으로 조작해 수익을 챙기는 불법 작전세력이 타깃을 찾을 때 동전주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 점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작전세력에 의해 돈을 잃지 않으려면 도박을 꿈꾸지 말고 철저히 공부와 분석을 통해 투자 종목을 골라야 합니다.

 

 

 

728x90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