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즈니스 존재감(Business Presence)만으로 효과를 본 기업들 보통 소상공인들과 중소기업은 소셜미디어를 시작하여 운영하는데 서툰 점이 많습니다. 또 소셜미디어를 운영할 여건 자체가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페이스북 페이지를 개설해도 여러 가지 이유로 종일 접속 한 번 할 이유가 없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소설미디어는 소통을 위한 도구입니다. 계정이 있어도 운영을 못한다면 소용없지 않은가 오히려 불통에 인한 나쁜 이미지를 줄 수 있으니 차라리 만들지 않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의문에 더해 '제대로 운영이 가능할 때까지 소셜미디어 계정을 만들지 말라'고 가르치는 분들도 있습니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꼭 그것이 유일한 답이라고는 할..

소셜미디어 마케팅 기본 모델 소셜미디어 마케팅 '기본 모델(BM : Basic Model)' 은 고객과의 관계를 위한 교투보를 만드는 단계로 당장 어떤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보다 고객의 소리를 들어야 하는 단계입니다. 기본모델 구성 이후의 확산이나 고객 참여 모델의 효과는 기본 모델이 얼마나 충실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소셜미디어 마케팅 기본 모델을 나타낸 것으로 기업은 중심 미디어를 통해서 미디어 가입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 피드백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초기부터 회사나 제품, 서비스에 대한 홍보성 내용을 일방적으로 이야기하지 말아야 합니다. 고객은 자신의 의견을 경청하고, 숫자가 아니라 하나의 인격체로 대해주는 기업의 태도에 대해서 친밀감을 느끼고 만족하게 되며, 이런..

플랫폼으로서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시스템 관점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접근은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쉽게 구조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 관점만의 마케팅 수행은 마케팅 주체나 고객이 같은 목적으로 시스템 안에서 입력, 변환, 출력의 선형적 접근을 한다는 판단을 내리리 것으로 온전한 소셜미디어 마케팅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기업은 마케팅 활동을 통해서 고객을 움직여야 한다는 기업 중심의 사고와 같은 것입니다. 소셜미디어 마케팅은 고객을 움직이기 위한 마케팅이 아니라, 고객과 소통하기 위한 마케팅입니다. 고객의 소리에 기업이 움직여야 하는 마케팅입니다. 기업이 아니라 고객이 칼자루를 잡는 마케팅으로 변한 것입니다. 소셜미디어에서는 하나의 기업과 한 사람의 고객은 동등한 입장입니다. 하나의 아이디(ID : Iden..

소셜미디어 마케팅 모델의 배경 1. 마케팅의 변화 마케팅의 바람은 블로그 광고와 홈페이지, 포털사이트 검색광고, 배너광고, 그리고 고액 TV, 신문 광고 등 여러 가지 매체와 플랫폼을 이용해서도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급속도로 발전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서 지상파나 신문, 잡지, TV 광고도 시대적 흐름에 따라서 그리고 인터넷 보급률로 인해서 또 다른 시대적인 흐름을 타게 됩니다. 인터넷 시대에 웹을 통해서 블로그 마케팅과 SNS 마케팅으로 막대한 자원으로 홍보 전략이 바뀌어갑니다. 지금도 블로그마케팅과 함께 SNS 마케팅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것의 중심에는 개인적으로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있습니다. 국민 1인당 1대씩 휴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과 고객을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은..
고객이 직접 만드는 SNS 메뉴판 코모도 레스토랑 요즘 식당에서는 주문한 음식이 나오면 숟가락보다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를 먼저 꺼내 드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필자 역시 블로그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SNS에 올리기 위해서 디지털카메라보다는 이제는 스마트폰 카메라로도 웬만한 디지털카메라 못지 않겠 찍을 수 있고 화질도 엄청 좋고 광각이나 망원 줌 기능까지 있어서 디지털카메라 자리 채워가고 있습니다. 이야기 잠깐 다른 곳으로 갔습니다. 먹음직스러운 음식 사진을 찍어서 페이스북이나 블로그에 올리기 위한 것입니다. 뉴욕에 위치한 코모도(Comodo) 레스토랑은 이러한 고객의 습성을 마케팅에 활용해 짭짤한 재미를 봤습니다. 2012년 뉴욕 맨해튼 소호 인근에 문을 연 남미 음식점 코모도의 관계자은 식당을 ..

소셜 CRM으로 해결책 제공하기 최근 몇 년 동안 소셜 미디어의 확산 현상은 멈출 수 없게 됐다. 퓨리서치센터는 2015년, 미국 성인 중 65퍼센트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2005년에 이 비율은 불과 7퍼센트에 그쳤다. 영국의 소셜 조사 기관은 위아소셜(We Are Social)에 따르면 2016년 소셜 미디어 사용자 수는 23억 명에 이르며, 이는 전 세계 인구의 31퍼센트에 해당한다. 브랜든는 반드시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고객과 연결되어야 하게 됐다. 영국 인터넷 광고국(Internet Advertsing Bureau)은 고객 중 약 90퍼센트가 소셜 미디어에서 브랜드를 접해본 후에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한다는 내용의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시장 조사기관인 NM 인사이트(NM Inc..

산업별 네 가지 마케팅 전략 마케터는 또한 BAR 통계를 통해 산업 패턴을 추출해낼 수 있어야 한다. BAR은 본래 고객의 브랜드 추천 의사를 나타낸다. BAR 중간 값(median)[숫자를 순서대로 놓았을때 가장 가운데에 있는 값]이 낮은 산업에서 고객은 일반적으로 경쟁 브랜드를 추천할 의사를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산업에선 입소문 마케팅과 소셜 미디어 마케팅도 그다지 효과가 없다. 반면 BAR 중간값이 높을 때는 고객이 하나 이상의 브랜드를 추천할 가능성이 크다. 이때는 입소문 마케팅과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아주 효과적이다. 특정 산업에서의 BAR 범위(최고 BAR과 최저 BAR 간 차이) 역시 홍미로운 통찰을 드러내 준다. BAR 범위가 넓다는 건 입소문이 지배한다는 의미이며, 이에 따라 BAR이 ..
- Total
- Today
- Yesterday
- 주식
- 비트코인
- 마케팅공부
- 마케팅
- 마케팅용어
- 소셜미디어
- 4차산업혁명
- 소셜미디어마케팅
- 마케팅이야기
- 인공지능
- 마케터
- 광고
- 브랜드
- 빅데이터
- 마케팅믹스
- 기술창업
- 포지셔닝
- 경제
- 경제용어
- 홍보
- 모바일마케팅
- 제휴마케팅
- 주식정보
- 블록체인
- 콘텐츠마케팅
- 마케팅전략
- 수익형블로그
- 창업
- 블로그마케팅
- 경제이야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