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BIG

경제 이야기 -리디노미네이션

화폐 단위를 바꾸는 것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의 단위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1,000원을 100원으로, 100원을 10원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이렇게 화폐 단위를 바꾸면 덩달아 화폐 호칭도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원'이 '환'으로 바뀌는 것인데, 우리나라는 1953년에 100원을 1 환으로, 1961뇬애 10 환을 1원으로 바꾼 적이 있습니다. 그럼 무엇 때문에 화폐 단위를 바꾸는 걸까? 경제 규모가 커졌으니 그에 맞게 돈의 단위도 바꿀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한 해 예산은 200조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나라살림 규모가 커지면 거래되는 돈의 단위도 점점 커져서 거래나 계산할 때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더욱이 머지않아 조의 1만 배인 '경' 단위가 등장ㅊ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화폐 단위도 경제규모에 맞게 바꿔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그러나 반대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운선 물가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의 1,000원을 1환으로 바꾸면 현재 3,800원인 물건의 가격이 3.8 환이 돼야 하는데, 그런면 은근히 쓸 적 끝자리가 올라 4 환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또 새 화폐로 교환하는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도 반대 이유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듯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리디노미네이션은 국가적 차원의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2018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이 총재는 우리나라가 라디노미네션을 수용한다면 금융거래 과정에서 계산, 기장, 지급상의 편리함이 커지고 원화의 대외 위상도 높아질 것이라 말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화폐에 대한 적응 과정과 국민 불편이 불가피하고, 심리적 불안감과 금융정보 시스템 변경 등이 에상되기 때문에 충분한 과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의 성공사례로는 터키를 들 수 있습니다. 지난 2005년 터키정부는 자국 화폐인 '리라'의 단위에서 0을 6개나 떼어내며 화폐 단위를 100만 분의 1로 축소했습니다.

150만 리라는 그 가치가 1달러에 불과했습니다. 터키의 경우 리디노미네이션 시행 후 물가불안도 없었고 경제가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2009년 100원을 1원으로 바꾼 북한의 리디노미네이션은 실패로 끝났습니다. 

물가가 올라 14,500%나 인플레이션이 일어났으며, 이로 인해 악화된 민심을 잠재우기 위해 북한 당국은 총책임자를 총살하기도 했습니다. 섣부른 리디노미네이션이 사회에 어떤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지 잘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온라인거래에서 사용되는 가상 디지털 화폐

 

비트코인은 2009년부터 발행된 가상화폐입니다. 비트코인은 가상화폐이기 때문에 일반 화폐처럼 중앙은행이 발행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성능 좋은 컴퓨터로 수학 문제를 풀면 비트코인을 대가로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을 얻는 과정을 광산업에 빗대어 '캔다'라고 합니다. 또한 이런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만드는 사람을 '마이너(miner, 광부)'라고 칭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비트코인은 개인과 개인, 개인과 상점이 거래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비트코인 시장은 걸음마 단계지만, 해외 비트코인 관련 시장은 이미 수천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미국의  결제회사 페이팔, PC 제조회사 델, 일본의 온라인 쇼핑몰 라쿠텐 등 세계 유명 상점들은 이미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을 도입했고,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최근 일본의 한 전력 회사가 비트코인으로 요금을 지불하는 시스템을 처음으로 도입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비트코인을 공공요금 지불 수단으로 사용한 것은 일본이 최초입니다.

 

비트코인이 기존 화폐를 대체하는 대체재보다는 보완재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합니다. 이는 비트코인이 단기적으로 화폐의 대체재보다는 신용카드나 계좌이체 등 지급수단의 보완재로 차별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한편 비트코인이 탄생한 이후 7년 동안 비트코인의 창시자는 베일에 싸여 있었습니다.

'사토시'라는 익명이 이름으로만 존재했는데 2016년 5월 드디어 정체가 드러났습니다. 예상과 달리 창시자는 일본인이 아닌 호주 출신 사업가이자 컴퓨터 공학자인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였습니다.

그가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은 약 100만 비트코인으로 추정됩니다. 현금으로 환산하면 약 4억 5,000만 달러(5,292억 원)라는 어마어마한 수치입니다. 

한때 비트코인으로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 투자금이 몰리는 광풍이 불었습니다. 그로 인해 2018년 1월 7일 한국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이 역대 최고가 2,500만 원을 기록하기도 하며 비트코인으로 부자가 됐다는 사람들의 사례가 속출했습니다.

하지만 광풍도 잠시뿐, 비트코인 규제 정책과 계좌 실명제 이야기가 나오면서 가격은 추락했고, 현재 비트코인은 400만원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9년 2월 기준), 이때 손해를 본 투자자들의 자살 소식이 뉴스에 오르내리며 비트코인의 위험성이 강조되기도 했습니다.

 

 

 

 

 

 

주식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 주주가 주식회사에 출자한 일정한 지분

유가증권(有價證券, securities)은 재산가치가 있는 권리가 담긴 증권입니다. 수표나 어음 같은 화폐 증권, 주식·국채·공채·사채 등의 자본증권, 선하증권과 같은 물품 증권 등이 모두 유가증권에 포함됩니다. 그런데 수표나 어음은 그 차이를 쉽게 알 수 있지만, 주식(株式, stock, share)과 채권(債券, bond)의 차이를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주식과 채권은 어떤 점이 비슷하고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날까?

주식과 채권은 둘 다 자금을 직접 조달한다는 점에서는 같습니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식과 채권은 자본을 마련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가증권 중에서도 '자본증권' 이라고 불립니다. 그리고 자본증권을 거래하는 시장을 '자본시장'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점을 제외하면 주식과 채권은 서로 많이 다릅니다. 우선 주식은 주식회사가 자본금(사업밑천)을 확보하기 위해 발행하는 증서입니다. 이에 비해 채권은 정부나 공공기관, 특수법인, 금융기관 그리고 주식회사가 사업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빚을 낼 때 발행하는 증서입니다. 즉 채권은 한마디로 '빚문서'입니다.

 

경영참여권을 중심으로 비교해보면 어떨까? 주식을 갖고 있는 사람은 주주(株主, stockholder)로서, 갖고 있는 주식 금액에 비례하는 영향력과 책임을 갖고 회사 경영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는 경영 관련 주요 사항을 주주총회에서 의결하도록 돼 있는데, 주주는 주주총회에 참석해 보유한 지분만큼 의결권(議決權, 집단 결의에 참가해 의사를 표명할 수 있는 권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채권 소유자는 회사 경영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채권에는 상환 만기와 이자율 등 조건이 붙어 있는데, 채권 소유자는 만기기 됐을 때 원금과 이자를 받으면 그만입니다. 한마디로 채권에 투자하는 것은 은행에 예금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존속기간을 중심으로 비교해보면, 주식은 주식을 발행한 회사와 존속을 같이하는 일종의 (永久) 증권입니다. 이는 회사가 청산절차를 거쳐 문을 닫지 않는 한 지속된다는 뜻입니다. 이에  비해 채권은 영구채권을 제외하고는 발행자가 원리금의 상환기간을 명시하는 일종의 기한부 증권입니다.

소유에 따른 권리를 살펴보면, 주식은 특정회사의 소유권 일부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경영성과에 따른 이익 중 일부를 현금이나 주식 형식으로 배당(配當, dividend, 이익배분 배)을 받습니다.

채권은 원금과 이자만 있을 뿐, 회사의 경영성과와는 무관합니다. 결국 주식은 기업의 경영성과가 악화될 경우, 배당은 커녕 주가 하락으로 인해 원금마저 날릴 수 있지만, 채권은 원금과 이자가 보장되는 확정상품인 셈입니다.

 

 

 

 

728x90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