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T5eB/btq65Tt5LuB/k6TSBm78KSSSbxaLljjo00/img.jpg)
지점 없은 은행, 인터넷 전문은행의 탄생 인터넷 전문은행이 몰고 온 긍정적인 변화들 케이뱅크를 시작으로 카카오뱅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2017년 2개의 인터넷 전문은행이 탄생했다. 2016년 11월 30일 금융위원회가 국내 인터넷 은행 사업자로 카카오와 KT를 선정하면서, 1992년 평화은행 이ㅏㄴ가 이후 24년 만에 새로운 은행이 탄생했다. '핀테크의 꽃'이라 불리는 인터넷 전문은행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 서비스로, 기존 금융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어가고 있다. 인터넷 전문은행은 오프라인 영업점을 최소한으로 운영하거나 영업점 없이 업무의 대부분을 현금자동지급기(ATM)나 모바일 등 배대면 채널을 통해 서비스하는 은행이다. 일반 시중은행의 경우 저성장, 저금리로 인해 영업 환경..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n6lTf/btq64SbogWb/uYeKgyRdBG3ysldsMWEniK/img.png)
현금없는사회-빠른속도로 증가하는 중국의 무현금 졀제 중국은 정부 주도가 아닌 알리바바, 텐센트 같은 민간 ICT기업을 주축으로 현금 없는 사회로 빠르게 다가가고 있다. 중국 젊은이들도 현금을 가지고 다니는 일이 드물다. 알리페이나 위챗페이로 거의 모든 소비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 사회 곳곳에서 '무현금'이라는 단어을 자주 목격 할 수 있다. 모바일 결제 1위 사업자인 알리페이가 올 8월 '무현금 도시 주간' 캠페인을 시행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알리페이로 결제하는 소비장 중 무작위로 추첨해서 최고 88위안을 되돌려주는가 하면, 188만 명을 추첨해서 총 8만 8,888그램의 금을 주는 행사를 실시했다. 금값으로만 40억여 원을 쓴 덕분인지 캠페인 기간 동안 모바일 결제 건수가 전년 동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jrOt/btq64hChsMF/T8QqCJJtP6XXydIcOhIenK/img.jpg)
현금없는사회-국내외 국가들의 사례와 현황 세계적인 석학들은 이미 몇 년 전부터 결제 시장의 급성장와 핀테크 등의 혁신기술 발달로 현금 없는 사회를 예견했다. 2015년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아일랜드의 한 대학 강연에서 "다음 세대 아이들은 현금이 뭔지 모르게 될 것" 이라는 현금 종말론을 펼쳤다. 하버드 대학의 저명한 교수이자 경제학자인 케네스 로고프(Kenneth Rogoff)도 자신의 저서[화폐의 종말 - 지폐 없는 사회(The Curse of Cash]에서 화폐로 인해 생겨나는 폐해와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디지털 화폐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로부터 2ㄴ연 가량이 흐른 지금은 비트코인과 가상화폐와 전자지갑 사용이 활발해지고, 실제 동전이나 지폐와 같은 전통 화폐들의 쓰임새가 줄어들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Yqe4C/btq64hbcsgf/N9qbsVRseIXPTrhlQy7ogk/img.jpg)
아직까지는 휴먼어드바이저의 보조수단 하지만 AI를 통한 로보어드바이저가 휴먼어드바이저보다 수익률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AI를 이용하여 자산관리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주는 것일 뿐 수익률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로보어드바이저의 핵심은 투자 알고리즘인데 이를 공개하는 회사는 없기 때문에 정확한 핵심은 알기 어렵다. 미국 및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자문사는 다우존스, 코스피 같은 특정 지수를 초과하는 수익률을 달성했다고 주장하지만 과거의 수익률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는 것철검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야 제대로 된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아직은 로보어드바이저의 기술 수준이 휴먼어드바이저를 넘어서지는 못하기 때문에 금융업계에서는 아직까지 보완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zoMCg/btq62WSVgqB/KWbJrBaqNnZ1Qs4EaumOx1/img.png)
쉽게 복제 가능한 단점 있어 독자적 결제수단 현재는 음성인식 뱅킹을 이용하려면 5-9단계의 인증 단계를 거쳐야 할 정도로 절차가 복잡하고 '이체' 라고 말할 경우에도 단어를 인식하는 성공률이 떨어진다. 또 비밀번호 입력, 결과 응답 등 여러 단계에서 개인 정보 유출 우려가 높고, 조회 등 시각적인 데이터로 확인하는 것이 익숙한 면이 있다. 하지만 연로해서 스마트폰 자판을 입력하기 힘들거나 다른 이유로 손을 쓰기 힘든 상황에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음성인식 뱅킹이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 따라서 음성인식 뱅킹은 차량 등 특수한 환경에서 활용하거나 일부 민감하지 않은 정보만 입력하도록 하는 등 텍스트 기반 거래를 보완해나가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이다. 음성인식 뱅킹#은 시장에 막 도입되는 시점으로 단..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XJjOb/btq64v7PXcj/Rt7UrVOIr91aBa2ddIomY0/img.png)
음성인식을 통해 AI 뱅킹(보이스 퍼스트) 손가락으로 누르지 않아도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는 제로터치(zero-touch)UI 시대가 온다. 제로터치 UI는 장치에 인터페이스가 없는 것을 말한다. 2013년에 개봉한 영화 [허Her]에는 인공지능 운영체제인 '사만다'가 등장한다. 사만다는 주인공의 목소리를 통해 업무를 능숙하게 처리해준다. 단순히 시키는 것만 아닌, 스스로 생각하고 마치 사람처럼 주인공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물론 현실세계에서 구현되기까지는 아직 요원하지만 금융 분야에서 제로터치 UI의 선두 격인 음성의 활용 가능성이 본격적으로 테스트되고 있다. 인증에서의 활용부터 고객의 실제 목소리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인 잔액 조회, 송금명령 등과 콜 센터에서 고객의 목소리를 통한 빅테이터 축적 등..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4HDpp/btq61J497M9/PzeKtjzzy88xNah5H6mtKK/img.jpg)
국내 챗봇은 딥러닝, 머신러닝을 활용한 자연어 처리 능력 8퍼센트 에이다는 국내 AI 스타트업인 데이터나다가 만든 챗봇으로 페이스북 메신저 기반의 서비스이다. 앞서 국내 금융권 2개 업체와는 달리 시나리오 기반이 아닌 자연어 처리 기반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대출을 받고 싶어요" 라고 입력하면 대출에 관한 안내가 나가고 "계좌 잔고를 알려줄래?"라고 입력하면 홈페이지 회원 정보를 연동하여 페이스북 메신저로 계좌 잔고를 알려준다. 또 하나 특이한 점은 스스로 학습이 가능한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있어서 인지하기 어려운 문장이 반복되더라도 챗봇이 20분간 학습을 통해 응대한다는 것이다. 생소한 질문이더라도 동일 내용이 반복되면 자동으로 학습해서 테이터를 축적해 나간다. 외국에 비해 아직 국내 챗봇은 한계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Km1R/btq6VIUOF1m/kR8rKSzAKCD74PKSTdn1M0/img.png)
챗봇 서비스 도입에 발벗고 나선 금융계 해외에서는 챗봇이 커머스 플래폼으로 확장, 진화하면서 금융권에서도 챗봇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에 쉴 틈이 없다. 챗봇에서 이뤄지는 대화를 통해 결제와 금융상품 가입 등이 가능해지면서, 금융사들에게 필수불가결한 플랫폼이 된 것이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Bank Of America)는 2016년 10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핀테크 컨퍼런스 '머니(Money 20/20' 전시회에서 인공지능 기반 챗봇 '에리카(Erica)'를 선보였다. 에리카는 핀테크 업체와 손잡고 만든 고객 자산관리 로봇이다. '에리카'라는 이름은 '뱅크 오브 AmERICA'의 마지막 6글자를 따서 지었다. 이용자는 텍스트와 음성으로 에리카와 대화를 할 수 있고, 거래 내용이나 한도액 등의 질문을 남..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BQLkF/btq60kdSuC5/FOZ4iBwtvofSdpeg1p87r1/img.jpg)
오토(무인)PB시대가 열리다. 챗봇을 통한 맞춤형 상담 마치 인간과 대화를 하는 것처럼 대화를 통해 정보 검색과 쇼핑을 할 수 있고, 마감이 임박한 관리비를 알려주거나 옷을 주문해주기까지 한다. 심지어는 개인의 감정을 읽어 위로하는 말을 건네기까지 한다. 심지어는 개인의 감정을 읽어 위로하는 말을 건네기까지 한다. 사람과 대화하는 챗봇(Chatbot)시대가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 '챗봇'의 기원은 1994년 카네기멜론대학의 마이클 몰딘[(Michael Mauldin) 라이코스의 창업자] 박사가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만들 때 '채터봇(Chatterbot)'을 처음 사용한 데서 유래한다. 챗봇이란 간단히 말해 이용자와의 문자 대화를 통해 질문에 알맞은 답이나 각종 연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HCqfG/btq6VIFPn5z/V3hxGyJFhxsIO5cCtBTTkk/img.png)
세상을 변혁시키는 탈중앙화 시스템 우리 사회는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중앙화되어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보안화로 별도의 공간에 모아 관리하고, 권한이 있는 사람들만 접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중앙시스템이 해킹되는 경우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되고, 때로는 관리자들의 부정부패로 인해 사용자들이 피해를 보기도 한다. 그래서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들이고, 괸리자들을 감시하는 별도의 쳬계를 마련하거나 감시자들을 두는 경우도 있다. 금융, 통신, 유통 등 대부분의 산업분야를 비롯해 정보도 이러한 중앙시스템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각 분야별, 기업별로 구축된 중앙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타 시스템과 정보를 교환할 수 없고, 기능하다 하더라도 교환된 정보를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비트코인
- 창업
- 마케팅공부
- 홍보
- 블록체인
- 소셜미디어
- 수익형블로그
- 주식정보
- 브랜드
- 빅데이터
- 제휴마케팅
- 마케팅전략
- 포지셔닝
- 인공지능
- 마케팅용어
- 4차산업혁명
- 마케팅믹스
- 콘텐츠마케팅
- 주식
- 마케팅이야기
- 경제용어
- 마케터
- 모바일마케팅
- 소셜미디어마케팅
- 블로그마케팅
- 마케팅
- 경제이야기
- 광고
- 기술창업
- 경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