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BIG

대한민국은 대기업 천국? 규모의 경제

생산설비를 확대해 생산량을 늘림에 따라 평균 비용이 하락하는 현상

 

 

대만은 대표적인 중소기업 강국입니다. 전체 기업 중 약 97%가 직원 수 200명 이하의 중소기업이며, 이 중소기업들은 전체 산업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그런 대만 재계가 가장 벤치마킹하고 싶어 하고 부러워하는 나라는 어디일까? 바로 우리나라입니다.

대만은 중소기업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섰지만 우리나라의 삼성그룹, 현대그룹, LG, SK와 같은 대기업은 만들어내지 못했습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이들 기업이 전 세계 시장을 파고들며 '메이드 인 코리아'의 위상을 떨칠 때 대만 정부는 우리나라처럼 대기업을 육성하지 못한 것을 가슴 아파했다고 합니다. 이 때문일까? IT·반도체 분야에 대한 대만 정부의 아낌없는 투자와 지원 덕분에 대만 기업 에이서, HTC, 아수스, 트렌드마이크로 등은 중소기업으로 출발했지만 이제 브랜드 가치만 12억 달러를 넘어서며 글로벌 IT 대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한편 대기업 위주의 성장 전략을 펼쳐온 우리나라의 상황은 어떨까? 2016년 기준으로 자산규모가 5조원 이상인 우리나라의 대기업은 65개(계열회사는 1,735개)였고 중소기업은 354만 5,473개였지만, 2016년 10월부터 대기업 자산 기준이 5조 원에서 10조 원으로 상향됐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대기업 지정 기준을 바꾼 배경은 '경제 여건 변화' 때문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공정위는 지난 2008년 대기업 기준을 자산 규모 5조원으로 결정한 후 이 기준을 유지해왔습니다.

그런데 2008년 이후 8년간 우리나라 경제 규모와 기업의 자산 규모가 커지면서 대기업 지정 기준을 높일 필요성이 생긴 것입니다. 이 기준을 적용해 자산 규모가 5조원을 넘어선 카카오, 하림, 셀트리온 등 25개의 민간기업과 12개의 공기업이 중소기업으로 분류돼 대기업 수는 28개로 줄어들었습니다.

대기업에 혜택을 주는 정책 대신 다양한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힘써야 한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같은 글로벌시대에는 외국기업에 맞설 수 있는 대기업의 필요성도 인정해야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반도체, 자동차, 철강, 가전제품 등 대규모투자를 필요로 하는 규모의 경제 산업이 주요 수출품목인 경우 기업은 그에 걸맞은 규모를 갖춰야만 합니다.

 

 

 

 

 

세계적인 석학 피터 드러커는 전세계적으로 대기업이 없는 나라는 없다고 했습니다. 이웃나라 일본은 우리나라와 비교도 안될 정도로 대기업이 많고,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중국도 대기업이 무려 1,000여 개나 됩니다. 영국 식민지에서 지금은 중국으로 편입된 인구 700만 명의 홍콩도 대기업이 주종을 이루고 있습니다. 중국의 세계적인 갑부 리카싱이 설립한 홍콩 최대 그룹인 청쿵그룹은 허치슨 왐포아, 청쿵실업, 홍콩텔레콤, 등 400개 이상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으며, 52개국에 종업원이 27만 명이나 되는 거대 그룹입니다. 21세기 경제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인도 역시 대기업 타타그룹이 중심에 있습니다. 타타그룹은 2018년 기준으로 약 70만 명의 직원과 정보기술(IT), 소비재, 제조, 항공우주 등 7개 사업부문에서 100개 이상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한 국가의 경제력이 대기업만 몰리는 집중 현상이 우려되는 것도 사실이지만, 대기업이 1개 생기면 전후방산업 연관효과로 많은 산업이 생기게 마련입니다. 이는 세계적 경제 발전론자인 앨버트 허쉬만이 주장한 '불균형 성장론' 이 잘 말해줍니다. 불균형 성장론은 일부 주요 산업에 대기업을 만들어서 그 뒤를 이어 여러 산업에 걸쳐 많은 중소기업이 저절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자는 이론입니다.

이는 대기업의 부를 늘리면 중소기업에도 골고루 혜택이 돌아간다는 트리클다운 이론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대기업이 부를 분배하지 않고 쌓아두기만 하면서 고용의 확대 혹은 한국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또 사업을 문어발식으로 확장해 골목상권을 위협하는 대기업의 행동은 사람들의 질타를 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기업에 관한 온갖 험담을 늘어놓지만, 한편으로는 자신 또는 자신의 자녀가 대기업에 취직하기를 바라는 것이 오늘날 우리나라의 현실입니다. '대기업은 무조건 나쁘다' 혹은 '대기업이 아니면 안된다' 는 인식은 바뀌어야 합니다. 정부와 국민은 대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고, 대기업 역시 중소기업과 윈-윈(win-win)할 수 있는 올바른 기업정신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728x90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