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BIG

국제무대에서 끼리끼리 뭉쳤다 G20

주요 선진국과 신흥국이 국제사회의 주요 경제·금융 이슈를 논의하는 협의체

 

G5, G7, G20라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여기서 G는 그룹(group)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그다음 숫자는 무슨 의미일까? 그룹에 속해 잇는 국가 수를 의미합니다. 즉, '5개 회원국', '7개 회원국', '20개 회원국'이라는 뜻입니다. 몇몇 국가가 이처럼 국제사회에서 그룹을 지어 행동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제무대에서 끼리끼리 뭉쳐 그룹의 힘을 과시함은 물론, 궁극적으로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럼, 이들 각 그룹의 역사를 살펴볼까 합니다. 국제 경제질서의 시초는 G5(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로 이른바 '선진 5개국 회의'였습니다. 이들이 모임을 결성한 이유는 1973년 국제 오일쇼크가 전 세계를 강타하자 위기를 타개할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시작으로 1975년 이탈리아, 1976년 캐나다가 G5 회의에 참여하면서 세계 7대 경제강국이 모두 포함된 G7이 탄생했습니다. 그리고 사실 지금까지도 세계경제는 이들 G7 회원국이 쥐락펴락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이들이 전 세계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절대적입니다.

1997년에 러시아가 이들 'G7 부자클럽'에 가입하면서 G8이 됐습니다. 그러나 정상회담과 외무장관회의는 G8으로 개최하지만, 재무장관회의는 여전히 러시아를 제외한 G7 국가들만 모여서 열고 여기서 정책을 결정합니다., 러시아의 경제발전에 따라 G8 편입은 허용했지만, 실제로 중요한 결정은 여전히 G7이 독점하는 배타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하지만 속담에 "달도 차면 기운다"라고 했던 것 같습니다. 최근 경제가 욱일승천하는 중국과 인도 그리고 남미의 자원보국 브라질을 포함해 세계경제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한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등 신흥국가들이 세계경제를 좌지우지해온 G8 체제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브릭스 국가 중 이미 G8에 포함돼 있는 러시아를 제외한 3국과 멕시코,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5개국은 지난 2005년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G8 정상회담에 참석해 G8를 G13체제로 확대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이후 1997년 아시아 각국을 강타한 IMF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등 신흥공업국이 대거 포함되면서 G8은 G20으로 모습을 바꿨습니다.

 

 

우리나라는 경제규모에 비해 뒤늦게 세계 20대 주요국에 포함됐지만,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2010년 G20 의장국으로 선정됐습니다. 2010년 11월에는 우리나라 서울에서 G20 정상회의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G7이 G20까지 확대된 데는 G7이 국제위기를 타개할 제대로 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한 점, 미국의 국제적 리더십 부재에 대한 비판이 커진 점 등이 한몫을 했습니다. G7은 미국과 영국 등 서방 선진국의 금융패권이 중국, 인도, 브라질, 한국 등 신흥시장국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도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G2라는 말도 자주 쓰입니다. G2 신흥강국으로 급부상한 중국과 여전한 초강대국 미국을 함께 일컫는 말입니다. 하지만 중국이 인권, 빈부격차, 부패 등 G2라 불리기에는 선진국의 품격을 갖추지 못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습니다. 2015년에 들어서면서 중국의 경제성장을 하락과 미국의 셰일가스 혁명으로 G1, 즉 미국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있습니다. 에너지 혁명으로 세계 권력이 미국으로 이동함에 따라 세계경제, 문화, 정치 질서가 미국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미국 의존도가 높은 나라들의 경제가 동반 성장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그동안 세계경제에서 중국과 엎치락뒤치락 다투던 미국이 G1으로 거듭나는 상황에서, 두 나라 모두와 지리적,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우리나라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합니다.

 

달러화 강세가 몰고 올 세계경제의 소용돌이 패리티

달러화 강세와 유로화 약세로 1달러와 1유로의 화폐가치가 같아지는 현상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유럽은 금리 인하와 양적완화를 내세우며 통화정책을 같은 방향으로 유지해왔습니다. 이 시기에는 미국의 경제가 좋지 않으면 유럽도 가라앉았고, 유럽의 경제가 좋으면 미국 경제도 살아났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이 두드러진 경제 회복 조짐을 보이며 유럽과 동일한 경제정책에서 벗어나, 기준금리를 다시 올려 시장의 유동성을 회수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국 2015년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9년 6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종전 연 0~0.25%로 인상ㄹ했습니다. 이에 비해 경제 회복이 뚜렷하지 못한 유럽은 금리를 내리는 데 그치지 않고 마이너스 금리라는 파격적인 조치를 내놓으며 시장에 유동성을 풀어 경제를 살리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세계 경제의 핵심축인 이들 국가들이 금융정책에서 서로 다른 기조를 보이는 것을 '그레이트 다이버전스'라고 합니다. 유럽과 미국의 상반된 통화정책인 그레이트 다이버전스로 글로벌 경제는 큰 소용돌이에 휘말렸습니다. 시장의 유동성을 회수하려는 미국의 금리인상 정책과 시장에 유동성을 풀려는 유럽의 양적완화 정책이 전 세계 환율시장에 불안정을 가져온 것입니다. 이처럼 상반된 미국과 유럽의 경제정책은 1달러와 1유로의 화폐가치가 같아지는 패리티(pasrity) 현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유로화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달러와 격차가 컸습니다. 2014년만 해도 1유로 가치는 1.4달러로, 1.4달러를 지불해야 1유로를 살 수 있을 정도로 가치가 높았습니다. 그런데 2017년 1월 유로화 환율은 1.04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즉, 1.04달러만 지불해도 1유로로 바꿀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는 2003년 1월의 1.03달러 이후 14년 만에 기록한 최저 수준입니다. 지난 14년 동안 유로화는 달러화보다 늘 강세를 보여 왔습니다. 대체 어떤 이유로 달러와 유로의 화폐가치가 점차 같아지는 것일까?

 

 

 

 

 

한 가지 이유는 달러화 강세입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최근 뚜렷한 경기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의 회복은 달러 가치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2016년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도 달러화 강세에 한 몫했습니다. 여기에 유로화 약세까지 겹친 것이 또 다른 이유입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타격을 입은 유럽연합(EU)은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률 급증, 경제성장률 하락 등 디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 중앙은행(ECB)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지난 2015년 3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매월 무려 600억 유로(약 76조 1,844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돈을 시장에 공급했습니다. 이를 통해 총 1조 1,400억 유로(약 1,448조 원)에 달하는 돈이 시중에 풀렸습니다.

그런데 백약이 무효라는 말처럼 EU의 2016년 3분기 성장률은 0.3%에 머물며 사실상 제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ECB는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시중에 유로화를 더 풀며 시장 경제의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유로화가 시중에 많이 풀리다 보니 그만큼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결국 달러화 가치는 올라가고 유로화 가치는 내려가 결국 두 통화의 가치가 비슷해지는 패리티 현상이 벌어지게 된 것입니다. 패리티는 전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먼저 유로화 약세를 피해 EU로부터 미국으로 대규모 자본 이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유럽과의 교역이 많은 신흥국의 수출 산업에 빨간불이 켜질 전망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동차 등 수송기계의 유럽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유로화 약세가 계속 이어질 경우 해당 수출 기업들의 시름도 깊어집니다.

달러화 강세는 유가와 금 등 원자재 가격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원자재들의 대부분이 달러로 거래되는 만큼 달러화가 강세일수록 원자재 가격은 상승하고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이렇게 되면 특히 달러보다 약세인 통화를 보유한 아시아 국가들의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패리티로 인한 환율 변동성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