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BIG

경제 이야기-정보의 비대칭성

거래의 쌍방 중 어느 한쪽이 다른 쪽보다 우월한 정보를 갖고 있는 경우

주식시장에서 흔히 '개미'라는 명칭으로 알려진 개인투자가의 투자수익률이 기관투자가(institutional investor, 법인 투자기관) 보다 낮은 이유가 뭔지 알고 있습니까? 개미들도 나름대로 확보한 기업정보를 바탕으로 투자하지만 "주변에 주식으로 떼돈 번 개미가 없다"라는 말이 빈말이 아님이 거듭 드러날 뿐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입니다. 정보의 비대칭성이란, 사람마다 어떤 사항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가 똑같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여러 경로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는 기관투자가에 비해 개미들은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할 수밖에 없습니다.

바로 이 때문에 개미들의 승산이 낮은 것입니다.

정보의 비대칭성에 관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증권가에서는 흔히 "루머(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아라" 라는 말을 합니다. 이 말은 모든 정보가 즉각 주가에 반영된다는 이른바 효율적 시장가설을 전제로 합니다.

문제는 기관투자가는 다양한 경로로 각종 정보를 신속히 확보할 수 있는 반면, 개인투자가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대수 개인투자가는 신문과 방송 등 언론매체에서 보도하는 기사를 보고 해당 주식을 사는데, 사실 그 시점에는 이미 늦었습니다.

실제로 기업에 긍정적·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뉴스는 모두 주가가 움직인 후에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국 개인투자가는 신문이 아닌 구문에 의존하는 셈이 돼버리고, 개미보다 한 발 앞서 정보를 파악하는 기관투자가가 차익을 얻게 됩니다.

정보의 비대칭성에 관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자동차 브레이크를 고치러 정비공장에 갔는데, 정비기사가 브레이크패드뿐 아니라 브레이크를 통째로 바꿔야 하고, 트랜스미션이라는 부품도 바꿔야 한다고 말하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겠습니까? 정비기사의 말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정말 해당 부품을 바꾸지 않으면 문제가 되는 상황인지 아니면 바가지를 씌우려는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것도 결국 고객과 자동차 정비기사 사이에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캐리 트레이드

저금리로 조달한 자금을 다른 국가의 특정한 유가증권 혹은 상품에 투자하는 거래

 

혹시 '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 라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캐리 트레이드의 원래 뜻은 '갖고 있는 주식을 담보로 자금을 빌려 우량기업 주식처럼 수익성이 더 높은 주식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빌린 돈으로 유가증권 등 금융자산을 산 후 보유하다가 이를 팔아 차액으로 수익을 얻는 방식을 뜻합니니다.

최근에는 금리가 낮은 국가에서 자금을 빌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국가나 자산에 투자한 후, 투자수익을 올리는 기법을 가리킬 때 주로 사용합니다. 

즉 국가 간 금리 차이를 노려 수익을 올리는 것입니다. 차입한(빌린) 돈이 미국 달러인 경우 '달러 캐리 트레이드', 일본 엔화인 경우 '엔 캐리 트레이드'라고 합니다.

캐리 트레이드라고 하면 대부분 엔 캐리 트레이드를 생각합니다. 과거 금융위기가 발발하기 전인 2006~2007년 즈음에는 엔화 금리가 상대적으로 매우 싸다 보니, 흔히 헤지펀드로 알려진 국제 투기자본이 일본 시중은행에서 금리가 싼 엔화를 빌려 미국, 영국, 한국 등 일본보다 금리가 높은 나라의 주식이나 채권, 부동산 등에 투자했습니다.

 

이 당시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 금리가 4.25%, 일본 금리가 0.5%로 두 나라 간 금리 차이가 아주 커서 그에 따른 수익을 노린 앤 캐리 트레이드가 맹위를 떨쳤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위기에 처한 경제를 살리기 위해 자국 금리를 0%에 근접하게 하는 이른바 '제로금리 정책'을 취하면서 약 10년 동안 엔 캐리 트레이드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17년 들어 미국 경제의 회복세와 함께 시작된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앤 캐리 트레이드가 부활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마이너스에 가까운 일본 금리를 떠나 금리가 높은 미국으로 자산이 대이동 할 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싼 엔화를 빌려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행동은 거대한 국제 투기자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이른바 '와타나베 부인'이라 불리는 일본의 부유층 가정주부도 해외투자에 나섰습니다.

와타나베는 일본에서 가장 흔한 성이라 이런 표현이 생겼습니다. 이들은 30년 가까이 지속된 일본의 장기 경기침체와 제로 금리 체제 속에서 저금리의 엔화를 빌려 뉴질랜드 등 고금리 국가의 금융상품에 투자해 고수익을 올렸습니다. 

그러나 이들 역시 현재 전 세계 국가들이 저금리, 심지어 제로금리에 근접하는 금리정책을 쓰자 해외투자에 주춤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앤 캐리 트레이드뿐만 아니라 달리 캐리 트레이드, 유로(Euro) 캐리 트레이드도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당시 미국 금리가 0~0.25%대로 내려가자, 달러를 빌려 금리가 높은 국가에 투자하는 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많이 등장했습니다.

2010년 상반기에는 유럽발 금융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유로 캐리 트레이드도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유로존(Eurozone, 유로화를 사용하는 17개국) 회원국들의 국가채무가 급증한 탓에 유로화가 약세로 접어든 가운데 유럽 중앙은행(ECB)의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리라 전망했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낮은 국가의 돈을 빌려 고금리 국가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의 속성상 유로화도 캐리 트레이드의 대상으로 등장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퀴즈 하나 내겠습니다. 싼 엔화를 빌려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일본의 부유층 가정주부를 '와타나베 부인'이라고 부른다면, 달러화를 캐리 트레이드하는 미국 부유층 여성이나 유로화를 활용하는 유럽 여성은 무엇이라고 부를까? 정답은 달러 캐리 트레이드를 상징하는 여성은 '스미스 부인', 유로 캐리 트레이드를 상징하는 여성은 '소피아 부인'입니다. 여기에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로 한국 주식시장의 큰손으로 떠 어른 중국의 '왕 씨 부인' 도 있습니다. 전 세계의 여성 투자자들의 활약이 눈부십니다.

 

 

 

 

 

 

 

BIS 비율

국제결제은행 기준에 따른 은행의 자기 자본비율

 

BIS는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의 약칭이며, 스위스 북서부 도시 바젤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BIS는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독일의 배상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1930년에 발족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각국 중앙은행 간 혹은 일반은행과 중앙은행 간의 통화 결제나 예금업무를 비롯해 각종 금융정책을 조정하는 국제기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BIS를 흔히 '중앙은행의 은행'이라고 칭합니다.

BIS가 관심을 모으는 까닭은 바로 BIS비율 때문입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BIS 자기 자본비율(BIS capital adequacy ratio)'입니다. BIS비율은 BIS 산하의 비젤 위원회가 정합니다.

바젤위원회는 은행감독 업무에 대한 국제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된 조직입니다. BIS비율은 BIS가 정한 은행의 위험자산 대비 자기 자본의 비율을 뜻합니다.

여기서 위험자산(toxic assets)이란, 부실채권, 대출금 등을 말합니다.

BIS는 각국 은행에 부실채권, 대출금 등 위험자산에 비해 안전한 자산인 자기 자본을 일정수준 이상 유지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결국 BIS비율은 은행이 만약의 위험에 맞서 얼마나 밑천을 두둑이 쌓아두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인 셈입니다. 그래서 BIS비율이 높을수록 안정적인 은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93년 BIS비율을 도입했으며, 이에 따라 국제 업무를 하는 은행은 위험자산에 대해 최소 8% 이상 자기 자본을 유지하도록 돼 있습니다. 지난 1998년 외환위기때는 BIS비율 8%가 부실은행 퇴출의 기준이 되기도 했습니다. 위험자산으로 부실채권이 급증해 은행이 타격을 입을 경우, 최소 8% 정도는 자기자본을 갖고 있어야 위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논리에 따른 것입니다.

금융당국은 BIS비율이 5% 미만이면 경영개선 권고, 1% 미만이면 경영개선 명령 등의 조치를 내릴 수 있습니다. BIS비율이 높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은행의 입장에서 BIS비율을 높이려면 신용도가 낮은 기업에 대한 대출을 줄여야 합니다.

그러자면 중소기업처럼 자금사정이 여의치 않은 기업 입장에서는 자금난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BIS비율이 10%만 넘으면 우량은행으로 분류되므로 BIS비율을 너무 많이 높이기 위해 경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고객의 입장에서는 BIS비율을 맹신해서는 안됩니다. 2011년 2월 17일 부산 1 저축은행을 시작으로 하루 이틀 사이에 부산저축은행그룹의 나머지 계열사와 보해, 도민 등 저축은행 6곳이 영업정지를 당했습니다.

이로 인해 대규모 뱅크런(bank run, 예금자가 은행에 대한 신뢰를 잃어서 예치한 돈을 한꺼번에 인출하는 현상, 사태가 발생했고, 사전에 영업정지 정보가 유출돼 고위층과 VIP 고객들이 예금을 불법 인출한 것이 밝혀지면서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일었습니다.

7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한 후, 금융감독원의 조사 결과 이 은행들의 진짜 BIS비율이 드러났습니다. 보해저축은행은 2월 영업정지 당시만 해도 BIS비율을 -1.09%로 공시했지만, 실제로는 -91.35%였다고 합니다. 결국 이러한 거짓 BIS비율의 피해자는 예금자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선량한 피해자를 없애려면 각 금융회사에 대한 철저한 당국의 감시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728x90

 

 

 

728x90
반응형
LIST

'경제&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기로운 경제생활-마이너스 금리  (0) 2021.08.22
경제을 알면 돈이 생긴다-ROA  (0) 2021.08.21
경제이야기모음-사물인터넷  (0) 2021.08.16
독과점 과점  (0) 2021.08.15
지니계수  (0) 2021.08.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