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MARKETING

지니계수

블랙데블 2021. 8. 14. 09:54
728x90
반응형
BIG

지니계수

소득분배가 얼마나 공평하게 이루어졌는지를 나타내는 수치

 

경제 양극화와 불평등을 묘사한 대표적인 신조어로 '헬조선', '흙수저', '금수저' 등과 같은 단어를 종종 듣곤 합니다. 좀처럼 좁힐 수 없는 경제적 격차와 좌절감이 드러난 용어인 셈입니다. 사실 빈부격차는 인류 역사와 함께 이어져온 사회적 현상입니다. '만민평등'을 부르짖는 사회주의 종주국인 중국에서도 빈부격차가 심각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빈부격차와 소득분배의 불평등한 정도를 보여주는 지니계수는 이탈리아의 통계학자이자 사회학자인 코르라도 지니가 1912년 발표한 논문 <변동성과 이변성>에 처음 등장한 용어입니다.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에서 값을 매기는데 1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가 불평등함을 의미하며, 흔히 0.4를 넘으면 소득이 상당히 불평등하게 분배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진국 모임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지니계수는 대개 0.2~0.5 사이에 분포합니다. 덴마크, 일본, 스웨덴, 벨기에, 체코, 노르웨이 등 상대적으로 소득분배가 양호한 국가들은 지니계수가 0.3 미만이며, 이에 비해 심각한 양극화 지역으로 알려진 남미의 칠레, 멕시코 등은 지니계수가 0.4 후반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우리나라의 지니계수는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는 지난 1992년 0.245를 정점으로 IMF 외환위기를 거치며 급격히 악화됐다가 2011년 0.311, 2014년 0.302, 2015년 0.295로 점점 완화됐고, 2016년 들어 0.304로 소폭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수치만 본다면 OECD 34개국 회원국 평균치(0.314)에 가까우므로 부의 양극화가 심한 편입니다.

하지만 OECD 주요 회원국의 시장소득 지니계수와 가처분소득 지니계수의 차이를 따져보면 한국의 양극화는 심각해보입니다. 시장소득 지니계수는 세금과 정부 보조 등을 빼고 실제로 받는 소득인 월급으로만 따지는 것이고,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시장속득에 조세, 재정, 사회보험 등을 통한  재분배를 반영한 소득으로 통계청이 발표하는 아래의 표에 해당하는 지수입니다. 

시장소득 지니계수에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를 뺀 값이 클수록 재분배 효과가 높은 것으로 판단합니다.

2016년 기준 OECD의 지니계수 격차는 평균 0.162로 집계되지만, 우리나라는 평균치의 5분의 1인 0.031로 하위권에 속합니다.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로만 보면 우리나라의 불평등수준은 OECD 평균치이지만, 지니계수 격차로 보면 소득불평등이 높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소득불평등을 알아볼 수 있는 또 다른 지수로는 엥겔지수와 슈바베지수가 있습니다. 엘 겔지수(Engel confficient)란, 한 가정의 지출 총액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가계 소득이 높을수록 엥겔지수가 낮습니다. 슈바베지수(scwabe index)는 '한 가정의 지출 총액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주거비의 규모는 높지만, 지출총액 대비 주거비의 비중은 낮아집니다.

 

 

 

 

 

기업공개

기업의 주식, 경영 내용을 공개하는 것

 

2012년 5월 18일 뉴욕 타임스 스퀘어의 나스닥증권거래소 대형 스크린에 페이스북의 첫 거래를 환영하는 문구가 내걸렸습니다. 세계 최대 소셜 네트워크 업체인 페이스북이 자금조달을 위해 기업공개(IPO)를 결정하면서 큰 화제를 모은 것입니다. 당시 공모가는 38달러, 전체 공모 규모 184억 달러, 시가총액 1,040억 달러로 인터넷 기업으로는 구글도 제친 사상 최대 규모였습니다.

하버드대학 기숙사에서 회사를 창업한 지 8년 만에 마크 저커버그는 불과 28세의 나이로 세계적인 억만장자 대열에 합류하게 됐습니다.

주식시장에서 기업이 주식을 새로 발행하는 것을 '발행시장(primary market)'이라고 부릅니다. 결국 돈은 발행시장에서 투자자로부터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한 기업으로 흘러가게 마련입니다.

이처럼 특정 기업 주식이 일반투자자를 상대로 발행시장에 최초로 나오는 것을 기업공개(IPO)라고 합니다.

기업공개는 회사 주식을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에게 공개해 분산 소유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증권회사를 통해 정해진 절차를 밟아 공개된 주식회사를 '공개법인'이라고 합니다.

 

그럼 기업공개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기업은 상장심사를 받기 전에 기업공개를 하도록 정해져 있습니다. 기업공개를 한 기업은 회사 경영을 원활하게 하는 자금을 조달(확보)할 수 있습니다. 불특정 다수의 큰 자금을 모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상장기업이라는 간판을 얻게 돼 공신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물론 얻는 것이 있으면 잃는 것도 있게 마련입니다. 창업주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갖고 있던 많은 주식이 줄어듦에 따라 자칫 경영권 간섭 혹은 위협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거래소를 통한 감독당국의 감시와 견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심지어 대주주도 회삿돈을 함부로 쓸 수 없게 되며, 회사 역시 경영실적을 공시해야 하는 등 신경 써야 하는 일들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GDP

국내총생산, 국내에서 일정기간 내에 발생한 재화와 용역의 총합계액.

 

경제용어 가운데 가장 자주 등장하면서도 헷갈리는 것이 바로 GDP, GNP, GNI입니다. 이들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GDP는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어로 '국내총생산'을 말하며, 국내에서 일정기간 동안 발생한 재화와 용역을 모두 포함한 것입니다.

GNP는 'Gross National Product'의 약어로 '국민총생산'을 말하며, 국민경제가 일정기간(보통 1년)에 생산한 최종 생산물(재화나 서비스)을 시장 가격으로 평가한 총액을 말합니다.

쉽게 풀이하면 GNP는 한 국가의 국민이 국내는 물론 홰외에서 만들어낸 생산물의 총계, GDP는 특정 국가 거주민의 국적과 관계없이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총계를 뜻합니다. 

더 쉽게 말하면 GDP는 생산활동이 이뤄지는 장소, GNP는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국적을 증시 합니다. 그럼 외국인이 한국에서 돈을 번 것은 GDP에 포함될까? GNP에 포함될까? GDP에 포함됩니다. 반면, 우리나라 사람이 해외에 나가서 벌어들인 돈은 GNP에 포함됩니다.

요즘 우리나라는 경제성장 지표로 GNP 대신 GD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 세계 노동이나 자본의 국가 간 이동이 크게 늘고 있는 데 기인합니다. 결국 국적을 증시 한 GNP 기준 성장률은 국가의 고용 현황이나 경기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돈을 벌고 쓰는 것도 우리나라 경제의 한 단면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유럽 국가들은 1970년대 중반부터, 일본과 미국은 1990년대 초반부터 경제성장 지표로 GDP를 쓰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1995년부터 경제성장 지표를 GNP에서 GDP로 바꿨습니다.

 

 

 

 

 

GNI는 'Gross National Income'의 약어로 '국민총소득' 지표입니다. 한 나라의 국민 일정기간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로, 실질적인 국민소득을 측정하기 위해 교역조건의 변화를 반영한 지표입니다. 즉 소득을 중시한 것입니다.

현재 GNP는 거의 발표되지 않는데, GNP가 하던 역할을 이제는 GNI가 대신하게 됐다고 보면 됩니다.

우리나라는 2009년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맞이한 이후 2018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 8,380달러를 기록하는 등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 3만 달러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1인당 국민소득'에 대해 들어보셨습니다. 용어를 설명하기 전에 퀴즈를 하나 내겠습니다.

2019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1인당 국민소득이 가장 높은 나라는 어디일까? 정답은 미국도 중국도 아닌 룩셈부르크입니다. 높은 경제력에 비해 인구수가 적기 때문입니다. 국민총소득인 GNI를 인구수로 나눈 것이 바로 1인당 국민소득입니다. 이 지표는 일반적으로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728x90

 

728x90
반응형
LIST

'경제&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이야기모음-사물인터넷  (0) 2021.08.16
독과점 과점  (0) 2021.08.15
경제6단체  (0) 2021.08.13
경제야 같이 살자-경상수지  (0) 2021.08.10
경제을 알자-기업경기실사지수  (0) 2021.08.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