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BIG

경제공부-죽은 것도 산 것도 아닌 좀비기업

회생 가능성이 없는 기업이 재정 지원을 받아 파산만 모면하는 상태

 

시체가 되살아나 사람을 공격하는 좀비(zombie)는 영화의 단골 소재입니다. 〈부산행〉, 〈월드워 Z〉 등 영화에서 좀비들은 퀭한 눈으로 의식 없이 사람을 공격합니다.

그렇다면 좀비기업(zombie company)은 무엇일까? 회사가 회생할 가능성이 없는데 정부나 채권단, 즉 은행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아 파산만 간신히 모면하고 있는 기업을 뜻합니다.

기업의 기본은 영업활동을 하면서 돈을 벌어 이윤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좀비기업은 정부나 채권단 도움을 받아 간신히 회사를 운영해 목숨만 이어가는, 즉 연명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물론 아예 죽은 것은 아닙니다. 다만 기업이 사실상 죽은 시체나 마찬가지라는 애기입니다. 

그렇다면 좀비기업이라는 용어는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이에 대한 설(設)은 다양하지만, 대부분 1990년대 일본을 배경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좀비기업을 국가경제를 망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1980년대 말 주식 가격과 부동산 가격이 실제 가치보다 폭등했습니다. 그런데 일본은 1990년대 주가와 부동산 가격의 '거품'이 빠지는 이른바 '거품경제(bubble economy)' 붕괴로 경제가 침체국면을 맞게 됩니다. 

주식과 부동산 가격 급락으로 수많은 기업과 은행이 문을 닫았으며, 이로 인해 일본은 10년 넘게 경제성장률이 0%대에 머물렀습니다. 이 시기를 흔히 '잃어버린 10년(Lost Decaade)'이라고 부릅니다.
일본 경제의 불행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일본 정부는 거품이 꺼지면서 경기가 침체되자 경제를 살리기 위한 여러 조치를 내놓았습니다. 그러나 일본 경제성장률이 2001년까지 평균 1.1%에 그치는 등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장기침체를 거듭했습니다.

 

 

 

 

 

버블이 붕괴되자 일본 정부는 좀비기업을 정리해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이마저도 쉽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좀비기업을 한꺼번에 정리하면 소속 기업 종사자의 규모 실직 등 경제적 충격이 크다는 이유로 일본 정부와 채권단이 주저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본 정부와 채권단은 이들 좀비기업에 각종 금융지원을 해줬습니다. 애초에 좀비기업이 경쟁력이 있었다면 남들에게 손가락질받는 업체가 됐을까?

좀비기업은 당연히 경쟁력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들 좀비기업을 지원한 은행자금은 고스란히 부실채권(不實債券, insolvent obligation)으로 돌아왔습니다. 부실채권은 은행 등 금융기관이 빌려준 대출금 가운데 회수가 불확실한 돈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은행이 빌려준 대출금 가운데 은행이 되돌려 받을 수 없는 돈을 뜻합니다.

은행의 입장에서 부실채권이 늘면 우량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제대로 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우량기업에 대한 자금이 제대로 돌지 않아 투자가 위축되고 우량기업이 경영난을 겪는 등 악순환을 거듭하게 마련입니다. 이는 남의 일이 아닙니다. 우리나라에도 단 한 푼의 이익도 내지 못하는 좀비기업이 수두룩하기 때문입니다. 국세청 국세통계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7년 당기순이익이 '0원 이하'라고 신고한 법인이 26만 4,564개입니다. 이는 2016년(24만 916개)에 비해 무려 9.8%(2만 3,648개) 늘어난 것입니다. 또한 2012년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은 수치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당기순이익이 0원이라는 애기는 무슨 뜻일까? 쉽게 설명하면 1년 동안 회사를 경영했지만 순이익을 전혀 남기지 못했거나 오히려 손해를 봤다는 뜻입니다. 이와 함께 2017년 1년 동안 이익은 냈지만 이익이 1,000만 원이 넘지 않은 법인도 8만 5,468개였습니다. 순이익 0원 이하 법인에 이들까지 합치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3%에 달합니다. 이는 전체 절반 이상의 법인이 한 달 평균 100만 원도 안 되는 이익을 냈거나 손실로 인해 허덕였다는 뜻입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한계기업이 결국 시장에서 정리되는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중견 조선업체 '성동조선'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지난 8년간 정부로부터 공적자금을 받아온 좀비기업 성동조건이 2018년 3월 결국 법정관리 신세가 됐습니다.

성동조선은 2017년 컨설팅업체 EY한영회계법인이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조사를 한 결과 청산가치(7,000억 원)가 존속가치(2,000원)의 세 배를 넘었습니다.

청산가치란,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영업활동을 중단하고 청산할 경우 회수 가능한 금액의 가치를 말합니다. 이에 비해 '존속가치' 혹은 '계속기업 가치'는 현시점에서 기업이 계속 영업을 할 경우, 회사의 자산을 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결국 성동조선은 청산하는 게 영업을 계속하는 것보다 더 낫다는 결론이 나온 것입니다. 성동조선은 정부가 좀비기업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예입니다. 좀비기업을 국민의 혈세로 굳이 계속 살리는 게 경제를 위해 좋은 결론이 아니라는 애기입니다. 비록 좀비기업을 정리하는 데 따른 고통이 따르겠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게 혁신을 무기로 한 초(超) 혁신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좀비기업이 '창업-성장-퇴출'로 이어지는 산업 생태계 신진대사를 저해하고, 결국 우리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걸림돌이 된다면 이들을 돕기보다는 퇴출시키는 게 더 현명한 결정이라는 애기입니다. 

 

 

 

 

 

 

커플링(동조화)의 반대개념 디커플링

일정 국가의 경제가 다른 국가나 보편적인 세계경제의 흐름과 달리 독자 노선을 보이는 현상

 

디커플링(decoupling)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이는 동조화(同調化)라는 뜻의 '커플링(coupling)'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즉, 한 나라 경제가 인접한 다른 국가나 세계경제 흐름과 따로 노는 경제현상을 가리킵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계를 얘기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우리나라 경제와 미국 경제가 밀접한 관계에 있다 보니 미국 주가가 떨어지면 한국 주가도 떨어지고, 미국 주가가 오르면 한국 주가도 오르는 현상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미국과 한국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동조화, 즉 커플링이라고 합니다. 그럼 '세계경제가 디커플링 현상에 빠졌다"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 속된 말을 표현하면, 미국이 재치기를 해도 세계경제가 감기에 걸리지는 않는다는 애기입니다. 이와 같은 세계 경제 디커플링 현상은 최근 수년간 더욱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한 예로 국제금융시장에서 미국 달러화가 미치는 영향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달라화는 여전히 같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달러화는 여전히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선호하는 이른바 기축통화(基軸通貨, 국가 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에서 기본이 되는 화폐)의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유럽연합(EU)의 유로화와 중국 위안화의 도전이 만만치 않습니다. 

세계은행(World Bank)조차 2025년 이전에 달러화의 독주가 끝나고 달러화, 위안화의 복수 기축통화체제가 정착되리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동안 미국과 아시아 국가들 간의 디커플링 논란은 계속됐습니다. 2009년 당시 미국 경제가 침체 국면을 보이고 있는 동안에도 중국은 2006년 이래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했으며, 소비지출 역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중국 등 이머징마켓(신흥시장)은 자체적으로 튼튼한 소비시장을 갖고 있고, 서방 경제권에 비해 정부가 치밀한 거시경제정책을 쓰고 있기 때문에 중국과 미국은 디커플링이라는 목소리가 큽니다.

 

우리나라는 어떨까? 우리나라의 수출비용은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에 달하고, GDP 대비 수입비중 역시 50% 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출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보니, 세계경제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악재에 쉽게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아시아 국가 대부분이 미국을 상대로 무역흑자를 거두고 있는 상황에서, 대미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와 미국 간의 디커플링은 아직 시기상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728x90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