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BIG

헤지 펀드의 시장교란 사례들 2

 

◆ 1998년 LTCM 위기

헤지 펀드의 위세는 급기야 월스트리트를 강타했다. 1998년 여름 외환 위기에 처한 러시아 정부가 대외 채무 지불 정지(국가 부도)를 선언하면서 러시아 국채는 휴지가 되었다.

러시아 국채에 투자하고 있던 각종 펀드들은 마진 콜을 받고 긴급히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유 자산을 투매해야 했다. 이로 인해 다른 채권들의 가격도 연쇄 폭락하기 시작했고, 결국에는 월스트리트에 소재한 유력 헤지 펀드인 LTCM이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LTCM은 과거 유력 투자은행이었던 샐러 먼 브라더스의 전설적인 채권 트레이더 출신인 존 메리웨더(John Meriwether)가 1994년에 설립한 헤지 펀드인데, LTCM의 이사진에는 옵션 이론으로 1997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두 명의 저명한 금융경제학자인 마이런 숄스(Myron Scholes)와 로버트 머튼(Robert C. Merton)도 참여하고 있었다.

LTCM은 전형적인 롱·쇼트 전략에 입각해 유동성이 풍부한 미국 국채 또는 일본 국채를 빌려 쇼트 포지션을 가져가고, 러시아 국채, 덴마크 모기지 채권과 같은 상대적으로 위험이 높고 유동성이 떨어지는 채권을 롱 포지션으로 가져갔다.

그 원리는 매우 간단한 것이었다. 쇼트 포지션으로 재원을 조달해 수익률이 높은 채권에 투자함으로써 이자율 차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물론 대차대조표상 자산 면에 높은 위험이 있다는 것을 분명했지만 분산 투자의 원리에 의해 상당 수준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고 보았다.

LTCM은 첨단 금융공학자들을 동원해 다양한 수리 통계 분석으로 위험 가능성을 충분히 낮추었다고 자체 평가하고 있었다.

LTCM이 불량 채권인 러시아 채권을 선호한 중요한 이유는 러시아가 핵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러시아가 달러 부족으로 대외 지급 불능 사태에 봉착할 가능성은 상존하고 있었지만, 미국과 IMF가 이를 결코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굳게 믿은 것이다. 러시아가 달러 부족 사태를 돌파하고자 자칫 핵을 상거래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것이므로 미국이 반드시 개입해 러시아의 달러 부족 위기를 수습해 줄 것으로 확신한 것이다.

그러나 LTCM으 예상과 달리 러시아는 대외 지급 불능을 선언했고 러시아 국채는 휴지가 되었다.

이에 LTCM에 대출해 준 금융 기관들이 마진 콜을 발동하자 LTCM은 자산 면에 보유한 고위험 채권을 일거에 시장에 매물로 내놓았다.

그 결과는 고위험 채권의 동시 가격 폭락이었다. 시장의 유동성이 더더욱 부족해진 상황에서 대량의 매도 주문이 나오자 고위험 채권의 가격이 급격히 폭락한 것이다.

또 LTCM과 비슷한 포지 셔을 가지고 있던 헤지 펀드가 워낙 다수였으므로 그 파괴력은 대단했다.

 

당시 문제는 단지 LTCM이라는 헤지 펀드의 파산 가능성만이 아니었다. 채권 가격이 극심하게 폭락해 마진 콜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할 경우, LTCM에 대출해 준 대형 상업은행과 투자은행들도 덩달아 유동성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뉴욕 연방준비은행은 메릴린치, 시티, 스미스바니(Smith Barney, 이후 시티에 합병됨). USB 등을 포함한 미국과 유럽의 대형 금융 기관의 장을 긴급히 소집해 밀실에 가두고 자발적으로 구제 금융 책을 마련하도록 압박했다.

연준의 이러한 비상 조치는 주효했다. 참석한 민간 금융기관들은 구제 금융을 나누어 분담하는 것이 자신들의 주주 이익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1998년의 LTCM 사태는 연준이 직접 구제 금융을 제공한 것은 아니지만, 연준이 전통적인 역할 범주에서 벗어나 헤지 펀드의 위기 사태에 개입한 획기적인 사례였다.

LTCM 사태 이후 헤지 펀드 규제론이 헤지 펀드의 본고장인 미국에서도 강력히 대두되었다.

헤지 펀드로 인한 시장 교관과 금융 시스템 위기의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