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금융 경제

다양한 종류의 펀드들

블랙데블 2022. 5. 10. 19:12
728x90
반응형
BIG

다양한 종류의 펀드들

 

분산 투자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모든 펀드는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시장에 나와 있는 펀드 상품에는 종류가 매우 많다. 일차적으로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로 구분할 수 있다. 주식이 일부라도 편입되어 있으면 주식형 펀드로 분류되므로 채권형 펀드에는 주식이 일체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인 펀드 상품은 주식이 포함된 주식형 펀드라고 볼 수 있다. 주식형은 대체로 수익성이 높고 채권형은 안정성이 높다. 이때 안정성이 높다는 것은 기대 수익률의 변동성이 낮다는 것을 뜻한다. 같은 주식형 펀드라도 운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펀드 매니저가 재량권을 갖고 자산 배분이나 종목 선택을 자유롭게 하는 것을 자유형 펀드라고 하며, 반대로 사전에 결정된 투자 방침에 따라 기계적으로 운용하는 것을 시스템형 펀드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유력 펀드가 펀드 매니저의 이름으로 기억되기도 하는데, 이들 펀드는 매니저의 투자 판단과 매매 기술을 중시하는 자유형 펀드라고 볼 수 있다. 시스템형 펀드는 과거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양한 가상 실험(시뮬레이션)을 실시해 일정한 운용 규칙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자산 배분 비율과 종목 선택을 한다. 이처럼 시스템형 펀드는 이미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펀드를 운용하므로 대량의 거래가 기계적으로 이뤄지곤 하는데, 이를 가리켜 프로그램 매매(program trading)라고 한다.

 

※ 프로그램 매매 

미국에서는 대형 기관 투자자들이 왕성하게 프로그램 매매를 활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정한 시장 조건이 나타나면 자동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방향으로 대량 매매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극단적인 가격 변동이 초래될 수 있다. 실제로 1987년 10월 뉴욕 증시의 주가가 역사상 최대 폭으로 하락하는 검은 월요일 사태가 발생했는데,  조사 결과 당시 추가 폭락을 야기한 주원인은 프로그래 매매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각국의 감독 당국은 프로그램 매매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검토하게 되었으며, 세계의 주요 증권거래소에서는 프로그램 매매 물량을 보고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검은 월요일 사태 때 사용된 프로그램 매매는 주식 시장과 주가 지수 선물 시장 간의 아비트라지를 목적으로 이뤄진다.

 

시스템형 펀드의 일종으로 일반들에게 가장 친숙한 것은 인텍스(index) 펀드다. 인덱스 펀드는 1971년 미국에서 최초로 출시되었는데, 펀드의 순자산 가치(NAV)가 주식 시장 전체의 변동을 나타내는 주가 지수를 따라가도록 설정한 펀드다. 미국의 S&P 지수, 다우존스 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 일본의 닛케이 지수, 우리나라의 코스피(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지수 등 주요 주가지수들과 연동하는 인덱스 펀드가 다수 출시되어 있다. 인덱스 펀드는 시황의 변화에 따라 구성 종목의 시가 총액 비중이 계속 변화하므로, 수시로 여러 종목을 사들이고 여러 종목을 매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처리하기는 불가능하므로 컴퓨터를 이용해 프로그램 매매를 실행해야 한다. 이처럼 인덱스 펀드는 펀드 매니저의 역량에 거의 의존하지 않는 가장 전형적인 시스템형 펀드라고 볼 수 있다.

 

인덱스 펀드는 특정 주가 지수와 연동되므로, 해당 지수가 2% 상승하면 펀드의 순자산 가치도 2% 정도 상승한다. 그러나 연동의 정도가 100% 완전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인덱스 펀드는 대체로 개방형 이므로, 투자자의 해약 요구에 응하기 위해 현금 유동성을 일정 수준 확보해야 하고 그 부분만크은 주가 지수와 연동하지 않으므로 펀드의 연동성이 100%를 약간 밑돈다. 이를 가리켜 트래킹 오차(tracking error)라 한다.

 

※ 개방형 펀드

개방형 펀드는 투자자로부터 모집한 투자 원본이 추가 설정과 해약에 의해 증감 할 수 있는 펀드를 말한다. 즉 신규 투자 수요가 있으면 순자산 가치로 새로운 수익 증권(혹은 주식)을 발행해 투자자를 신규 모집하며, 기존 투자자가 해약이나 환금을 원하면 이를 순자산 가치로 매입해 준다. 오늘날 펀드 상품의 주류는 개방형 펀드이며 미국의 뮤추얼 펀드가 대표적이다.

 

■ 주가 지수를 반영하는 파생상품 펀드

인덱스 펀드는 실제 주식을 포트폴리오에 편입시켜 주가 지수를 모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주식에 직접 투자하지 않으면서 주가 지수를 모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주가 지수 선물이나 주가 지수 옵션과 같으 파생상품을 이용하면 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주가 지수 선물을 이용하는 주가 지수 연동형 펀드이다. 이 펀드는 기본은 채권에 투자해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추가 지수 선물(index futures)의 매입 포지션을 만들어 펀드의 순자산 가치가 주가지수의 변동을 따라가도록 만든 펀드이다. 주가 지수 선물로 주가 지수 연동이 가능한 까닭은 주가 지수 선물의 가격이 주가 지수와 같은 방향으로 변동하기 때문이다.

한편 주가 지수 옵션(index options)을 결합한 펀드도 있다. 주식 연계 증권(equity-linkde securities, ELS)을 발행하는 펀드가 대표적인데, ELS 펀드 역시 기본은 채권에 투자해서 안정성을 높이면서 운용 자산의 일부를 주가 지수 콜옵션에 투자한다. 주가 지수 콜옵션의 경우 지수가 행사 가격(exercise price) 이상으로 올라가면 큰 이익의 발생하며, 지수가 행사 가격 밑으로 내려가더라도 옵션 가격(또는 프리미엄) 이상으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시중에는 일명 원금 보장형 펀드로 알려져 있다. 이상과 같이 선물이나 옵션과 같은 파생상품을 이용하는 원리이다.

 

펀드 상품의 주종은 주식형이지만 그렇다고 채권형이 미미한 것은 아니다. 특히 저금리 시대가 찾아옴에 따라 은행 예금보다 높은 수익성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채권형 펀드가 인기를 끌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채권형 펀드 중에는 단기 금융 상푸에 분산 투자하는 MMMF의 위세가 매우 높다. 만기가 긴 국·공채에 주로 투자하는 장기 채권 펀드는 단기 금융상품(혹은 단기 채권)에 비해 위험·수익률의 단위가 더 높다. 그 이유는 장기로 갈수록 이자율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채권형 펀드는 주식형 펀드에 비해 안정성이 더 높다. 그렇다고 채권형 펀드가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용등급이 BB 이하인 정크 본드에 투자하는 고위험·고수익율을 추구하는 펀드가 있다. 정크 본드란 직 연하면 쓰레기 같은 채권이라는 뜻인데, 말 그대로 신용도가 낮고 채무 불이행 위험이 높기 때문에 그에 상응해 기대 수익률도 높은 채권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연기금, 뮤추얼 펀드 등 운영 실적을 공개하는 공모 펀드의 경우에는 보수적인 투자 원칙에 따라 BBB 등급 이상의 우량 채권에만 투자하며 정크 본드에는 특화한 고수익 채권형 펀드의 인기가 높다.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평가하는 정크 본드의 위험은 매우 높지만 실제 정크 본드의 부도율을 검증해 보면 그다지 높지 않다는 분석 결과가 있기 때문이다. 즉 고수익 채권형 펀드는 시장에서 평가한 위험과 실제 위험 간에 차이가 있다고 보고, 이 차이에 대해 아비트라지를 하고 있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