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BIG

슬기로운 경제 이야기-오너와 전문경영인

오너는 기업의 소유주, 전문경영인은 회사를 경영하는 사람

 

기업경영은 오너(owner, 소유주)가 하는 것이 좋을까?, 아니면 전문경영인에게 맡기는 것이 좋을까

두 경영체제 모두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의 경우 대부분 오너 경영 체제인데, 회사 규모가 작다 보디 굳이 전문경영인을 따로 둘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오너가 회사 지분을 100% 갖고 있는 일부 중 소기업의 경우에는 오너가 지겆 회사를 운영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대기업은 중소기업처럼 오너 경영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예 전문경영인에게 같기기도 합니다. 특히 IMF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우리나라에서는 능력이 부족한 오너가 운영하는 이른바 '황제 경영' 이 사라지고 전문가에게 경영을 맡기는 기업문화가 조성됐습니다.

이를 입증하듯 2018년 10월 한국산업경영학회의 세미나에서 〈오너 CEO 기업과 비오너 CEO 기업과의 겨영실적 비교분석〉이라는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1,986개 업체의 재무제표 3년 치를 분석한 결과 전문경영인이 최고경영자(CEO)를 맡은 기업이 오너가 경영하는 기업보다 경영 효율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전문경영인 체제가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고 말하기도 어렵습니다. 전문경영인은 오너에게 고용된 사람으로 오너의 눈치를 살필 수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주주이익 극대화보다 시장이나 조직확대 등에 더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전문경영인이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한다는 믿음을 심어주지 못하면 결국 주주들은 전문경영인을 믿지 못하게 됩니다. 이를 흔히 '주인-대리인 문제(principal-agent problem)'라고 부릅니다.

또한 전문경영인은 임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임기 내에 큰 성과를 거두려고 합니다. 임기 내에 뭔가를 이뤄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영업이익 감소를 가져오는 근본적인 원인을 수정하는 대신, 단기적 성과에만 집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오너 경영 체제에서처럼 과감하게 장기투자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기업은 대다수가 오너 + 전문경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한 기업에 대표이사가 여러명 있는 복수 최고경영자(CEO) 시대입니다. 기업이 커지면 총수나 CEO 한 사람이 사업을 모두 관장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사업을 확장할 땝마다 해당 분야의 전문경영인을 잇달아 영입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 오너 일가와 전문경영인의 연봉 격차가 2배이상 벌어지면서 오너 + 전문경영인 체재에 금이 가고 있습니다. 경제개혁연구소의 2014년 발표에 따르면, 국내 30대 재벌 계열사 중 19곳에서 총수 일가가 가장 높은 연봉을 받아 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너 일가에 집중된 권력도 문제입니다. 일명 '땅콩 회항' 사건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일반 직원을 대상으로 오너 일가가 무차별적인 권력을 행사한 이 사건은 사회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러한 예에서 보듯 임원 간 보수 격차와 오너 일가의 권력 행사는 경영성과에 불이익을 가져오고, 결국 오너 + 전문경영인 체제를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기업과 국가의 성적표 신용등급

국제적 신용평가기관의 심사를 통해 부여받은 등급

 

신용등급은 쉽게 표현하면 돈을 빌려는 기업이나 국가의 '성적표'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회사채를 발행하려면 신용평가회사로부터 신용등급을 받아야 하고, 국가가 국제금융시장에서 돈을 조달하려면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신용평가회사로부터 국가신용등급을 받아야 합니다.

회사채(corporate bond) 혹은 사채(社債)는 주식회사가 자금을 모으기 위해 일반인에게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말하자면 '빚문서'인 셈입니다. 회사채 등급은 사채를 발행한 기업이 원리금 상환 만기일까지 돈을 제대로 갚을 수 있는지 여부를 따져 그 상환능력에 따라 정해 나이스홀딩스(구 한국 신용정보), 나이스평가정보, 한국 신용평가정보(한신평), 한국기업평가(한기평) 등 신용평가기관이 매깁니다.

기업이 장기 회사채를 발행하고 돈을 빌려갔는데 원금을 제때에 갚지 못하면 그 손해는 고스란히 투자자가 떠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막기 위해 투자자가 미리 참고할 수 있도록 기업의 신용도를 총 18개 등급으로 차등을 둬 평가하는 것입니다.

18개 등급은 영문 알파벳순으로 매기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AAA, AA+, AA, AA-, A+, A-, BBB+, BBB, BBB-, BB+, BB, BB-, B, CCC, CC, C, D입니다. AAA는 원리금 지급능력이 최상급임을 뜻하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지급능력이 떨어짐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원리금 지급능력은 있지만 경제여건이나 환경에 따라 원리금 지급능력이 떨어질 위험성이 있는 BBB까지를 '투자적격등급' 이라고 하고, BB 이하는 '투자부적격 등급(투기등급)'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C는 채무이행 가능성이 거의 없는 상태, D는 부도나 화의(和議, 파산 직면) 등으로 이미 채무를 이행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신용등급은 이자율에 반영되므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일수록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에 이자를 더 많이 내려합니다.

'국가신용등급' 도 기업의 신용등급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특정 국가가 채무를 갚을 능력과 의사가 얼마나 있는지를 등급으로 매긴 것이 곧 국가신용등급입니다.

그런데 국가신용등급은 국가뿐 아니라 그 국가 냉에 있는 개별기업이나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국산용 등급이 나쁜 국가의 기업은 국제금융시장에서 불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밖에 없습니다.

국가신용등급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무디스, 피치 등 빅 3으로 불리는 세계 신용평가회사가 주로 평가합니다. S&P와 무디스는 국가신용등급을 모두 21개, 피치는 24개 등급으로 나눕니다.

S&P와 피치는 AAA에서 BBB-까지, 무디스는 Aas에서 Baa3까지 투자적격으로 판단합니다. 외환위기 당시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은 투자부적격 등급(BB+ 또는 Ba1 이하)까지 추락했지만, 2016년 기준으로 S&P는 AA, 무디스는 Aa2, 피치는 AA-로 매겼고 현재까지 유지 중입니다.

 

미국의 경우 2011년 8월 5일 S&P는 1941년 이후 70년 동안 최고 수준 AAA를 유지하고 있던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낮은 AA+로 강등했고, 현재까지 유지 중입니다.

2011년 8월 23일, 또 다른 신용평가회사 무디스는 재정적자 확대와 국가부채 증가를 이유로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을 Aa2에서 Aa3로 한 단계 끌어내렸습니다. 2014년 12월에는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아래인 A1으로 강등했고, 최근까지 유지 중입니다. 이는 일본 경제의 붕괴가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것을 반증합니다.

유럽의 골칫거리 PIGS(포르투갈,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중 하나인 스페인도 유럽 재정위기 이후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되는 수모를 겪었습니다. 당시 S&P는 스페인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BBB-로, 무디스는 Aa2에서 Baa3으로, 피치 역시 AA+에서 BBB로 강등했습니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이들 신용등급 평가기관의 평가가 반드시 정확하지는 않다는 겁니다. 1997년 11월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맞기 직전까지도 이들 빅 3은 우리나라를 초우량등급으로 판정했습니다.

그러다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자 한꺼번에 6단계나 등급을 깎아내렸습니다.

앞에서 말한 3대 신용등급 평가기관은 국가 외에 기업들을 평가하기도 합니다. S&P가 평가한 기업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AA), 애플(AA+), 도시바(BB+), 삼성전자(A+), SK이노베이션(BBB+)등 다양합니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들 신용등급 평가기관이 상대적으로 아시아 사정에 어두워 아시아 기업에 대한 평가의 정확성은 낮은 반면, 미국 기업에 대해서는 투기등급에 속하는 업체라도 평가가 후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와 같은 그릇된 판단이 기업은 물론 한 국가의 경제를 망칠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국가 신용등급은 대한민국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의 중요 지표가 되며, 신용등급 변화에 따라 자본이 유입될 수도, 유출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잘못된 정보로 인해 금융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기업설명회 등을 통해 외국인 투자자에게 우리나라 기업의 실상을 정확히 알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728x90

 

728x90
반응형
LIST
댓글